알림사항
[ 일반공지 ] 스마트 청구 활용과 스미싱 피해 예방
-
작성자고객복지부
-
작성일2024-12-26
-
첨부파일
◆스마트 청구란?◆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퇴직공제금을 청구하거나 보완 서류를 등록할 수 있는 서비스
스마트 청구 서비스를 이용하면
공제회 지사를 방문하거나 따로 어플을 설치하지 않고
공제회로부터 받은 모바일 고지문이나 안내 문자 내 URL을 통해
핸드폰 본인 인증 후 퇴직공제금을 청구하거나 보완 서류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서비스 제도를 악용한 스미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주의사항을 안내드립니다.
◆스미싱이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
악성 앱 주소가 포함된 휴대폰 문자로 악성 앱 설치 또는 전화 통화 등을 유도해
금융정보·개인정보 등을 탈취하는 수법(보이스피싱, 전자상거래 사기 등에 악용)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의 인터넷주소나 전화번호는 접속을 유의하고,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요구하는 메신저나 전화는 상대방을 정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공제회는 스미싱 피해 예방을 위해 다양한 조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한국인터넷진흥원의 번호도용차단서비스 가입
- RCS 안심마크 활용 등
스미싱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의 인터넷주소나 전화번호는 접속을 유의하고,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요구하는 문자는 상대방을 정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공제회는 퇴직공제금 청구 및 긴급 생계비 대부 신청 안내 시에는
발송처가 공제회임을 알리는 대표 전화번호(1666-1122)를 사용하며,
이외 다른 번호로 발송되었다면 스미싱 문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의심스러운 번호로 공제회의 안내 메시지 등을 수신했을 경우
메시지나 링크는 클릭하지 말고 즉시 삭제해야 합니다.
알아두면 좋은 사이버범죄 피해에 대한 대처 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
사이버범죄고 의심되는 경우 경찰청(112)으로 긴급신고하고
상담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이버범죄 상담센터(118)로 전화하시면 24시간 무료 상담이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으로 피해신고를 접수하실 때에는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에 접수하시면 됩니다.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